1. 체스판 다시 칠하기 (백준)

문제

지민이는 자신의 저택에서 MN개의 단위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는 M*N 크기의 보드를 찾았다. 어떤 정사각형은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고, 나머지는 흰색으로 칠해져 있다. 지민이는 이 보드를 잘라서 8*8 크기의 체스판으로 만들려고 한다.

체스판은 검은색과 흰색이 번갈아서 칠해져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각 칸이 검은색과 흰색 중 하나로 색칠되어 있고, 변을 공유하는 두 개의 사각형은 다른 색으로 칠해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정의를 따르면 체스판을 색칠하는 경우는 두 가지뿐이다. 하나는 맨 왼쪽 위 칸이 흰색인 경우, 하나는 검은색인 경우이다.

보드가 체스판처럼 칠해져 있다는 보장이 없어서, 지민이는 8*8 크기의 체스판으로 잘라낸 후에 몇 개의 정사각형을 다시 칠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당연히 8*8 크기는 아무데서나 골라도 된다. 지민이가 다시 칠해야 하는 정사각형의 최소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M이 주어진다. N과 M은 8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보드의 각 행의 상태가 주어진다. B는 검은색이며, W는 흰색이다.

출력

첫째 줄에 지민이가 다시 칠해야 하는 정사각형 개수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8 8
WBWBWBWB
BWBWBWBW
WBWBWBWB
BWBBBWBW
WBWBWBWB
BWBWBWBW
WBWBWBWB
BWBWBWBW

예제 출력 1 복사

1

예제 입력 2 복사

10 13 BBBBBBBBWBWBW BBBBBBBBBWBWB BBBBBBBBWBWBW BBBBBBBBBWBWB BBBBBBBBWBWBW BBBBBBBBBWBWB BBBBBBBBWBWBW BBBBBBBBBWBWB WWWWWWWWWWBWB WWWWWWWWWWBWB

예제 출력 2 복사

12

 


해결 방법 : 

브루트 포스로 일단 모두 검사하면서 체크

 

이유 : 

brute force로 모두 돌려봐야한다. 8x8로 잘라내는 방법을 찾고 고쳐야 될 것을 정하는 것을 따로 처리해주는 것이 포인트

 

참고 자료 :

god-gil.tistory.com/62

 

문제 : 

www.acmicpc.net/problem/1018

 

N, M = map(int, input().split())
board = list()
for i in range(N):
    board.append(input())
repair = list()
        
for i in range(N-7):
    for j in range(M-7):
        first_W = 0
        first_B = 0
        for k in range(i,i+8):
            for l in range(j,j + 8):
                if (k + l) % 2 == 0:
                    if board[k][l] != 'W':
                        first_W = first_W+1
                    if board[k][l] != 'B':
                        first_B = first_B + 1
                else:
                    if board[k][l] != 'B':
                        first_W = first_W+1
                    if board[k][l] != 'W':
                        first_B = first_B + 1
        repair.append(first_W)
        repair.append(first_B)
print(min(repair))

 


1. 덩치 (백준)

문제

우리는 사람의 덩치를 키와 몸무게, 이 두 개의 값으로 표현하여 그 등수를 매겨보려고 한다. 어떤 사람의 몸무게가 x kg이고 키가 y cm라면 이 사람의 덩치는 (x, y)로 표시된다. 두 사람 A 와 B의 덩치가 각각 (x, y), (p, q)라고 할 때 x > p 그리고 y > q 이라면 우리는 A의 덩치가 B의 덩치보다 "더 크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A, B 두 사람의 덩치가 각각 (56, 177), (45, 165) 라고 한다면 A의 덩치가 B보다 큰 셈이 된다. 그런데 서로 다른 덩치끼리 크기를 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두 사람 C와 D의 덩치가 각각 (45, 181), (55, 173)이라면 몸무게는 D가 C보다 더 무겁고, 키는 C가 더 크므로, "덩치"로만 볼 때 C와 D는 누구도 상대방보다 더 크다고 말할 수 없다.

N명의 집단에서 각 사람의 덩치 등수는 자신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의 수로 정해진다. 만일 자신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이 k명이라면 그 사람의 덩치 등수는 k+1이 된다. 이렇게 등수를 결정하면 같은 덩치 등수를 가진 사람은 여러 명도 가능하다. 아래는 5명으로 이루어진 집단에서 각 사람의 덩치와 그 등수가 표시된 표이다.

이름(몸무게, 키)덩치 등수

A (55, 185) 2
B (58, 183) 2
C (88, 186) 1
D (60, 175) 2
E (46, 155) 5

위 표에서 C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이 없으므로 C는 1등이 된다. 그리고 A, B, D 각각의 덩치보다 큰 사람은 C뿐이므로 이들은 모두 2등이 된다. 그리고 E보다 큰 덩치는 A, B, C, D 이렇게 4명이므로 E의 덩치는 5등이 된다. 위 경우에 3등과 4등은 존재하지 않는다. 여러분은 학생 N명의 몸무게와 키가 담긴 입력을 읽어서 각 사람의 덩치 등수를 계산하여 출력해야 한다.

입력

첫 줄에는 전체 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 그리고 이어지는 N개의 줄에는 각 사람의 몸무게와 키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 x와 y가 하나의 공백을 두고 각각 나타난다.

출력

여러분은 입력에 나열된 사람의 덩치 등수를 구해서 그 순서대로 첫 줄에 출력해야 한다. 단, 각 덩치 등수는 공백문자로 분리되어야 한다.

제한

  • 2 ≤ N ≤ 50
  • 10 ≤ x, y ≤ 200

예제 입력 1 복사

5 55 185 58 183 88 186 60 175 46 155

예제 출력 1 복사

2 2 1 2 5

 


해결 방법 : 

그냥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해서 N명이면 N-1번 돌려보았다. 자신보다 크기가 큰 사람 이있으면 등수 +1

 

이유 : 

이런 문제가 모든 경우의 수를 봐야된다는게 조금은 보인다.

 

참고 자료 :

X

 

문제 : 
www.acmicpc.net/problem/7568

 

num_student = int(input())
student_list = []

for _ in range(num_student):
    weight, height = map(int, input().split())
    student_list.append((weight, height))

for i in student_list:
    rank = 1
    for j in student_list:
        if i[0] < j[0] and i[1] < j[1]:
                rank += 1
    print(rank, end = " ")

 


2. N-Queen (백준)

문제

N-Queen 문제는 크기가 N × N인 체스판 위에 퀸 N개를 서로 공격할 수 없게 놓는 문제이다.

N이 주어졌을 때, 퀸을 놓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1 ≤ N < 15)

출력

첫째 줄에 퀸 N개를 서로 공격할 수 없게 놓는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8

예제 출력 1 복사

92

 


해결 방법 : 

어떻게 반복문을 돌리는지 고민을 많이 했는데 그냥 재귀를 써야됬었다... 재귀는 아직 미숙해서 혼자 열심히 써보다가 포기하고 해설을 봄..

 

이유 : 

dfs를 재귀하는데 직접 손으로 그려보면 이해가 되는데 머리론 잘 안된다 ㅠㅠ

 

참고 자료 :

claude-u.tistory.com/245

 

문제 : 

www.acmicpc.net/problem/9663

 

#내 윗줄에 나와 겹치는 라인에 퀸이 있는가?
def adjacent(x):
    for i in range(x):
        if row[x] == row[i] or abs(row[x] - row[i]) == x - i:
            return False
    return True
        
        
#한줄씩 재귀하며 DFS를 실행
def dfs(x):
    global result
    
    if x == N:
        result += 1

    else:
        for i in range(N):
            row[x] = i
            if adjacent(x):
                dfs(x + 1)

N = int(input())
row = [0] * N
result = 0
dfs(0)
print(result)

 

1. 나이순 정렬 (백준)

문제

온라인 저지에 가입한 사람들의 나이와 이름이 가입한 순서대로 주어진다. 이때, 회원들을 나이가 증가하는 순으로, 나이가 같으면 먼저 가입한 사람이 앞에 오는 순서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온라인 저지 회원의 수 N이 주어진다. (1 ≤ N ≤ 10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각 회원의 나이와 이름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나이는 1보다 크거나 같으며, 2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고, 이름은 알파벳 대소문자로 이루어져 있고, 길이가 100보다 작거나 같은 문자열이다. 입력은 가입한 순서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총 N개의 줄에 걸쳐 온라인 저지 회원을 나이 순, 나이가 같으면 가입한 순으로 한 줄에 한 명씩 나이와 이름을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3 21 Junkyu 21 Dohyun 20 Sunyoung

예제 출력 1 복사

20 Sunyoung 21 Junkyu 21 Dohyun

 


해결 방법 : 

python sort 사용

 

이유 : 

어제와 비슷하게 sort에 람다를 넣으면 된다.

 

참고 자료 :

X

 

문제 : 

www.acmicpc.net/problem/10814

 

member_num = int(input())
member_list = []

for _ in range(member_num):
    member_age, member_name = map(str, input().split())
    member_age = int(member_age)
    member_list.append((member_age, member_name))

#나이 숫자 정렬 > 가입순 정렬
member_list.sort(key = lambda member: (member[0]))

for member in member_list:
    print(member[0], member[1])

 


2. 좌표정렬하기 (백준)

문제

2차원 평면 위의 점 N개가 주어진다. 좌표를 x좌표가 증가하는 순으로, x좌표가 같으면 y좌표가 증가하는 순서로 정렬한 다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점의 개수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i번점의 위치 xi와 yi가 주어진다. (-100,000 ≤ xi, yi ≤ 100,000) 좌표는 항상 정수이고, 위치가 같은 두 점은 없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점을 정렬한 결과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5 3 4 1 1 1 -1 2 2 3 3

예제 출력 1 복사

1 -1 1 1 2 2 3 3 3 4

출처


해결 방법 : 

python sort함수 이용

 

이유 : 

간단하게 리스트에 넣고 sort를 돌리니 됬음. 참고자료는 코드 효율화 이유로 찾아봄 간단한 문제

 

참고 자료 :

leedakyeong.tistory.com/entry/%EB%B0%B1%EC%A4%80-11650%EB%B2%88-%EC%A2%8C%ED%91%9C-%EC%A0%95%EB%A0%AC%ED%95%98%EA%B8%B0-in-python-%ED%8C%8C%EC%9D%B4%EC%8D%AC

 

문제 : 

www.acmicpc.net/problem/11650

 

 

v = [tuple(map(int,input().split())) for _ in range(int(input()))] # 입력
v = sorted(v, key = lambda x:(x[0],x[1])) # sorting
 
for i in v : print(i[0], i[1]) # 출력

 

1. 단어 정렬 (백준)

문제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N개의 단어가 들어오면 아래와 같은 조건에 따라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1. 길이가 짧은 것부터
  2. 길이가 같으면 사전 순으로

입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 N이 주어진다. (1 ≤ N ≤ 2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문자열의 길이는 5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조건에 따라 정렬하여 단어들을 출력한다. 단, 같은 단어가 여러 번 입력된 경우에는 한 번씩만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13 but i wont hesitate no more no more it cannot wait im yours

예제 출력 1 복사

i im it no but more wait wont yours cannot hesitate

 


해결 방법 : 

처음에 넣을때 단어의 길이를 같이저장하고 나서 lambda로 sort하는데 길이순서 -> 단어 순서로 sort하면 됨

 

이유 : 

간단하게 정렬을 하면되는데 python의 lambda를 쓰면 더 간단하게 코드를 짤 수있음

 

참고 자료 :

claude-u.tistory.com/148

 

문제 : 

www.acmicpc.net/problem/1181

 

words_num = int(input())
words_list = []

#입력받기
for _ in range(words_num):
    word = str(input())
    word_count = len(word)
    words_list.append((word, word_count))

#중복 삭제
words_list = list(set(words_list))

words_list.sort(key = lambda word: (word[1], word[0]))

for word in words_list:
    print(word[0])

1. 소트인사이드 (백준)

 

문제

배열을 정렬하는 것은 쉽다. 수가 주어지면, 그 수의 각 자리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정렬하고자하는 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자리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2143

예제 출력 1 복사

4321


해결 방법 : 

파이썬 함수를 이용해서 1줄로 풀었습니다. 함수이용하는게 관건인듯

 

이유 : 

그냥 string -> 배열로 바꿔서 정렬한 후 다시 배열 -> string으로 바꿔주었습니다.

 

참고 자료 : X

 

문제 : 

www.acmicpc.net/problem/1427

 

m = ''.join(map(str,sorted(list(map(int,list(input()))),reverse=True)))
print(m)

 


2. 영화감독 숌(백준)

문제

666은 종말을 나타내는 숫자라고 한다. 따라서, 많은 블록버스터 영화에서는 666이 들어간 제목을 많이 사용한다. 영화감독 숌은 세상의 종말 이라는 시리즈 영화의 감독이다. 조지 루카스는 스타워즈를 만들 때, 스타워즈 1, 스타워즈 2, 스타워즈 3, 스타워즈 4, 스타워즈 5, 스타워즈 6과 같이 이름을 지었고, 피터 잭슨은 반지의 제왕을 만들 때, 반지의 제왕 1, 반지의 제왕 2, 반지의 제왕 3과 같이 영화 제목을 지었다.

하지만 숌은 자신이 조지 루카스와 피터 잭슨을 뛰어넘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영화 제목을 좀 다르게 만들기로 했다.

종말의 숫자란 어떤 수에 6이 적어도 3개이상 연속으로 들어가는 수를 말한다. 제일 작은 종말의 숫자는 666이고, 그 다음으로 큰 수는 1666, 2666, 3666, .... 과 같다.

따라서, 숌은 첫 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666, 두 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1666 이렇게 이름을 지을 것이다. 일반화해서 생각하면, N번째 영화의 제목은 세상의 종말 (N번째로 작은 종말의 숫자) 와 같다.

숌이 만든 N번째 영화의 제목에 들어간 숫자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숌은 이 시리즈를 항상 차례대로 만들고, 다른 영화는 만들지 않는다.

입력

첫째 줄에 숫자 N이 주어진다. N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번째 영화의 제목에 들어간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2

예제 출력 1 복사

1666

 


해결 방법 : 

그냥 브루트 포스로 풀면되는데 처음에는 숫자를 어떻게 올려야될지 몰라서 고민을 많이 했다. 그래서 필요한 번호를 빼고 숫자를 더하는 방식으로 했는데 잘되었음

 

이유 : 

다른 방식도 해봤는데 그냥 모든 값을 확인해볼 수밖에 없었다. 아직  판단력은 안되는듯 ㅠㅠ

 

참고 자료 : X

 

문제 : 

www.acmicpc.net/problem/1436

 

N = int(input())
movie = 666

while N:
    if "666" in str(movie):
        N -= 1
    movie += 1

print(movie - 1)

 

'일상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3.26 알고리즘 공부 19일차  (0) 2021.03.26
21.03.24 알고리즘 공부 18일차  (0) 2021.03.24
21.03.22 알고리즘 공부 16일차  (0) 2021.03.22
21.03.19 알고리즘 공부 15일차  (0) 2021.03.19
알고리즘 공부 14일차  (0) 2021.03.16

1. 블랙잭 (백준)

문제

카지노에서 제일 인기 있는 게임 블랙잭의 규칙은 상당히 쉽다. 카드의 합이 21을 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카드의 합을 최대한 크게 만드는 게임이다. 블랙잭은 카지노마다 다양한 규정이 있다.

한국 최고의 블랙잭 고수 김정인은 새로운 블랙잭 규칙을 만들어 상근, 창영이와 게임하려고 한다.

김정인 버전의 블랙잭에서 각 카드에는 양의 정수가 쓰여 있다. 그 다음, 딜러는 N장의 카드를 모두 숫자가 보이도록 바닥에 놓는다. 그런 후에 딜러는 숫자 M을 크게 외친다.

이제 플레이어는 제한된 시간 안에 N장의 카드 중에서 3장의 카드를 골라야 한다. 블랙잭 변형 게임이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고른 카드의 합은 M을 넘지 않으면서 M과 최대한 가깝게 만들어야 한다.

N장의 카드에 써져 있는 숫자가 주어졌을 때, M을 넘지 않으면서 M에 최대한 가까운 카드 3장의 합을 구해 출력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카드의 개수 N(3 ≤ N ≤ 100)과 M(10 ≤ M ≤ 3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카드에 쓰여 있는 수가 주어지며, 이 값은 100,000을 넘지 않는 양의 정수이다.

합이 M을 넘지 않는 카드 3장을 찾을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M을 넘지 않으면서 M에 최대한 가까운 카드 3장의 합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5 21 5 6 7 8 9

예제 출력 1 복사

21

예제 입력 2 복사

10 500 93 181 245 214 315 36 185 138 216 295

예제 출력 2 복사

497

 


해결 방법 : 

이제 백준 문제를 풀기 시작했고 시작은 가볍게 brute force 알고리즘을 보려고 했다. 방법은 매우 간단했다. 모든 값을 다 더해보고 나서 크면 저장안하고, 작으면 저장해서 현재값과 max를 해서 크기를 비교하면 되는 간단한 문제였다.

 

이유 : 

모든 경우의 수를 다보는 경우인 것을 어떻게 바로 알수 있을지 찾아봤는데, 직감 같은 것인듯..

 

참고 자료 :

X

 

문제 : 

www.acmicpc.net/problem/2798

 

N, M = map(int, input().split())
arr = list(map(int, input().split()))
resul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i+1, N):
        for k in range(j+1,N):
            if arr[i] + arr[j] + arr[k] > M:
                continue
            else:
                result = max(result, arr[i] + arr[j] + arr[k])

print(result)

 


2. 분해합 (백준)

문제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된다.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 물론,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해결 방법 : 

똑같이 brute force로 풀었음. 파이썬은 이런 것에 대해서 좀 잘 쓸 수 있는 함수가 많은 듯

 

이유 :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봐야했음

 

참고 자료 :

X

 

문제 : 

www.acmicpc.net/problem/2231

 

num = int(input())
answer = 0

for i in range(1, num+1):
    coef_num_list = list(map(int, str(i)))
    answer = i + sum(coef_num_list)
    
    if answer == num:
        print(i)
        break

    if i == num:
        print(0)

 

'일상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3.24 알고리즘 공부 18일차  (0) 2021.03.24
21.03.23 알고리즘 공부 17일차  (0) 2021.03.23
21.03.19 알고리즘 공부 15일차  (0) 2021.03.19
알고리즘 공부 14일차  (0) 2021.03.16
알고리즘 공부 13일차  (0) 2021.03.15

1. 방문길이 (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게임 캐릭터를 4가지 명령어를 통해 움직이려 합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U: 위쪽으로 한 칸 가기
  • D: 아래쪽으로 한 칸 가기
  • R: 오른쪽으로 한 칸 가기
  • L: 왼쪽으로 한 칸 가기

캐릭터는 좌표평면의 (0, 0) 위치에서 시작합니다. 좌표평면의 경계는 왼쪽 위(-5, 5), 왼쪽 아래(-5, -5), 오른쪽 위(5, 5), 오른쪽 아래(5, -5)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ULURRDLLU"로 명령했다면

  • 1번 명령어부터 7번 명령어까지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 8번 명령어부터 9번 명령어까지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이때, 우리는 게임 캐릭터가 지나간 길 중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시에서 게임 캐릭터가 움직인 길이는 9이지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8, 9번 명령어에서 움직인 길은 2, 3번 명령어에서 이미 거쳐 간 길입니다)

단, 좌표평면의 경계를 넘어가는 명령어는 무시합니다.

예를 들어, "LULLLLLLU"로 명령했다면

  • 1번 명령어부터 6번 명령어대로 움직인 후, 7, 8번 명령어는 무시합니다. 다시 9번 명령어대로 움직입니다.

이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명령어가 매개변수 dirs로 주어질 때, 게임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여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dirs는 string형으로 주어지며, 'U', 'D', 'R', 'L' 이외에 문자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 dirs의 길이는 5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dirsanswer

"ULURRDLLU" 7
"LULLLLLLU" 7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해결 방법 : 

실제로 그냥 자기가 옮겨가기 전의 길을 저장해두고 확인하는 방법인데 포인트는 길은 양방향이여서 A->B로 이동하면 B->A로 가는 동선도 이미 간것과 같다. 그걸 생각하고 나머지 코드는 보기좋고 효율성을 위한 코드인 것 같다.

 

이유 : 

좌표는 역시 직접 움직여봐야하는듯..

 

 

참고 자료 :

ysyblog.tistory.com/2

 

문제 :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9994

 

def solution(dirs): 
    dxs, dys = [-1, 0, 1, 0], [0, -1, 0, 1] 
    d = {"U": 0, "L":1, "D":2, "R": 3} 
    visited = set() 
    answer = 0 
    x, y = 0, 0 
    for dir in dirs: 
        i = d[dir] 
        nx, ny = x + dxs[i], y + dys[i] 
        if nx < -5 or nx > 5 or ny < -5 or ny > 5: continue 
        if (x, y, nx, ny) not in visited: 
            visited.add((x, y, nx, ny)) 
            visited.add((nx, ny, x, y)) # 길은 '양방향'
            answer += 1
            print((x, y, nx, ny),(nx, ny, x, y))
        x, y = nx, ny 
        
    return answer

 


 

'일상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3.23 알고리즘 공부 17일차  (0) 2021.03.23
21.03.22 알고리즘 공부 16일차  (0) 2021.03.22
알고리즘 공부 14일차  (0) 2021.03.16
알고리즘 공부 13일차  (0) 2021.03.15
알고리즘 공부 12일차  (0) 2021.03.13

1. 땅따먹기 (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땅따먹기 게임을 하려고 합니다. 땅따먹기 게임의 땅(land)은 총 N행 4열로 이루어져 있고, 모든 칸에는 점수가 쓰여 있습니다. 1행부터 땅을 밟으며 한 행씩 내려올 때, 각 행의 4칸 중 한 칸만 밟으면서 내려와야 합니다. 단, 땅따먹기 게임에는 한 행씩 내려올 때, 같은 열을 연속해서 밟을 수 없는 특수 규칙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 1 | 2 | 3 | 5 |

| 5 | 6 | 7 | 8 |

| 4 | 3 | 2 | 1 |

로 땅이 주어졌다면, 1행에서 네번째 칸 (5)를 밟았으면, 2행의 네번째 칸 (8)은 밟을 수 없습니다.

마지막 행까지 모두 내려왔을 때, 얻을 수 있는 점수의 최대값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위 예의 경우, 1행의 네번째 칸 (5), 2행의 세번째 칸 (7), 3행의 첫번째 칸 (4) 땅을 밟아 16점이 최고점이 되므로 16을 return 하면 됩니다.

제한사항

  • 행의 개수 N : 100,000 이하의 자연수
  • 열의 개수는 4개이고, 땅(land)은 2차원 배열로 주어집니다.
  • 점수 : 100 이하의 자연수

입출력 예

landanswer

[[1,2,3,5],[5,6,7,8],[4,3,2,1]] 16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해결 방법 : 

보자마자 greedy 알고리즘을 써야겠다고 생각했었고 열이 4개밖에 없는 것을 활용해서 계속해서 최댓값을 더해가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유 : 

처음에는 너무 복잡하게 경우의 수를 계산하다가 for문을 1개만 쓰고 구현해보았음

 

참고 자료 :

eda-ai-lab.tistory.com/480

 

문제 :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3

 

def solution(land):
    for i in range(0, len(land)-1):
        land[i+1][0] += max(land[i][1],land[i][2],land[i][3])
        land[i+1][1] += max(land[i][0],land[i][2],land[i][3])
        land[i+1][2] += max(land[i][0],land[i][1],land[i][3])
        land[i+1][3] += max(land[i][0],land[i][1],land[i][2])
    return max(land[len(land)-1])

'일상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3.22 알고리즘 공부 16일차  (0) 2021.03.22
21.03.19 알고리즘 공부 15일차  (0) 2021.03.19
알고리즘 공부 13일차  (0) 2021.03.15
알고리즘 공부 12일차  (0) 2021.03.13
알고리즘 공부 11일차  (0) 2021.03.11

1. 조이스틱 (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조이스틱으로 알파벳 이름을 완성하세요. 맨 처음엔 A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ex) 완성해야 하는 이름이 세 글자면 AAA, 네 글자면 AAAA

조이스틱을 각 방향으로 움직이면 아래와 같습니다.

 

▲ - 다음 알파벳

▼ - 이전 알파벳 (A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Z로)

◀ -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 (첫 번째 위치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 마지막 문자에 커서)

▶ - 커서를 오른쪽으로 이동

 

예를 들어 아래의 방법으로 "JAZ"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첫 번째 위치에서 조이스틱을 위로 9번 조작하여 J를 완성합니다. - 조이스틱을 왼쪽으로 1번 조작하여 커서를 마지막 문자 위치로 이동시킵니다. - 마지막 위치에서 조이스틱을 아래로 1번 조작하여 Z를 완성합니다. 따라서 11번 이동시켜 "JAZ"를 만들 수 있고, 이때가 최소 이동입니다.

만들고자 하는 이름 name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름에 대해 조이스틱 조작 횟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만드세요.

제한 사항

  • name은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name의 길이는 1 이상 20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namereturn

"JEROEN" 56
"JAN" 23

출처

※ 공지 - 2019년 2월 28일 테스트케이스가 추가되었습니다.

 


해결 방법 : 

아직 문제를 보고 어떻게 풀어야하는지 감은 잘 못잡고 있는듯. Greedy 알고리즘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될지 감이 안잡혀서 또 노가다로 해보았음. 처음에 알파벳을 숫자로 바꾸는 것도 힘들었고, 밑에 알고리즘도 모든 경우의 수를 하면서 하는데 잘 안됬었음

 

이유 : 

make_name에는 각 알파벳에 대하여 최소 이동값을 구함 ex) J는 9

값이 0인 것들은 처음에 바꿀 필요가 없기때문에 그냥 answer에 더해준다

right, left로 움직이면서 가장 작은 차이의 알파벳을 구하고 방향을 옮긴 후 더해주고 0으로 바꾼다.

이걸 반복한다.

 

참고 자료 : jgrammer.tistory.com/entry/%ED%94%84%EB%A1%9C%EA%B7%B8%EB%9E%98%EB%A8%B8%EC%8A%A4-%EC%A1%B0%EC%9D%B4%EC%8A%A4%ED%8B%B1

 

문제 :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60

 

def solution(name):
    make_name = [min(ord(i) - ord("A"), ord("Z") - ord(i)+1) for i in name]
    idx, answer = 0, 0
    while True:
        answer += make_name[idx]
        make_name[idx] = 0
        if sum(make_name) ==0:
            break
        left, right = 1, 1
        while make_name[idx - left] ==0:
            left +=1
        while make_name[idx + right] ==0:
            right +=1
        answer += left if left < right else right
        idx += -left if left < right else right
    return answer

 


'일상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3.19 알고리즘 공부 15일차  (0) 2021.03.19
알고리즘 공부 14일차  (0) 2021.03.16
알고리즘 공부 12일차  (0) 2021.03.13
알고리즘 공부 11일차  (0) 2021.03.11
알고리즘 공부 10일차  (0) 2021.03.10

1.  삼각 달팽이 (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다음 그림과 같이 밑변의 길이와 높이가 n인 삼각형에서 맨 위 꼭짓점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달팽이 채우기를 진행한 후, 첫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모두 순서대로 합친 새로운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은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nresult

4 [1,2,9,3,10,8,4,5,6,7]
5 [1,2,12,3,13,11,4,14,15,10,5,6,7,8,9]
6 [1,2,15,3,16,14,4,17,21,13,5,18,19,20,12,6,7,8,9,10,1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3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해결 방법 : 

일단 먼저 숫자를 읽을때 3가지 경우로 나눈다. 내려올때, 오른쪽으로 갈때, 올라갈때, 이렇게 되어있으니 이걸 기점으로 좌표를 이동시긴다. 실제로는 밑의 그림처럼 좌표를 생각하고 풀면 된다.

 

n=4일때

01

02 09

03 10 08

04 05 06 07

 

이유 : 

이런 도형류 + 처음보는 문제는 그냥 손으로 규칙이나 알고리즘을 찾는게 베스트인 듯하다. 그걸 얼마나 빨리 찾느냐가 실력인듯.. 이번에는 거의 30분쯤 걸렸다. 규칙을 알고나서 어떻게 구현할지도 몰라서 꽤나 시간을 들이다가 결국 블로그를 찾아보게 되었다. 생각보다 간단했는데, 행렬로 트리를 만드는 것처럼하면서 좌표를 바꾸는 방법은 생각못했는데 좋은 것을 배운듯하다.

 

참고 자료 : coding-lks.tistory.com/56

문제 :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8645

 

def solution(n):
    res = [[0] * n for _ in range(n)]
    answer = []
    x, y = -1, 0
    num = 1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i, n):
            #down
            if i % 3 == 0:
                x += 1
                
            #right
            elif i % 3 == 1:
                y += 1
                
            #up
            elif i % 3 == 2:
                x -= 1
                y -= 1
                
            res[x][y] = num
            num += 1
    # print(res)
            
    for i in res:
        for j in i:
            if j != 0:
                answer.append(j)
    return answer

 


'일상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공부 14일차  (0) 2021.03.16
알고리즘 공부 13일차  (0) 2021.03.15
알고리즘 공부 11일차  (0) 2021.03.11
알고리즘 공부 10일차  (0) 2021.03.10
알고리즘 공부 9일차  (0) 2021.03.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