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시즌 2가 되면서 메타가 조금씩 안정됨에 따라 조합도 다양하게 나오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최근 조합을 어떻게 짜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2탱 2딜 2힐
제일 무난한 조합입니다. 메인딜러1, 서브딜러1, 메인탱커1, 서브탱커1, 메인힐러1, 서브힐러1 조합으로 다들 자신의 역할을 하면서 무난한 유지력과 탱킹 딜링으로 플레이 하는 조합입니다. 또한 힐러가 2명으로 생존률도 올라감으로 상성만 잘 맞추면 가장 좋습니다. 보통 메인힐은 루시우로 합니다.
하지만 점령전에서는 겐지,트레이서만으로도 딜링이 충분히 딜링을 할수 있습니다.

  • 2탱 3딜 1힐

보통 주로 볼수 있는 조합으로 원힐을 메인힐러를 넣고 딜링을 최대한으로 올려서 이기는 조합입니다. 메인딜러2, 서브딜러1, 메인탱커1, 서브탱커1, 메인힐러1 로 합니다. 보통 정크랫,토르비욘등을 넣는 조합으로도 쓰일수 있습니다.



  • 3탱 3힐

최근에 대회에서 가끔나오는 조합입니다. 이 조합이 나오게 된 계기가 아나로 딜링을 보충할수 있고 힐도 되서 힐러를 보통 아나, 젠야타 + 메인힐러를 넣고 탱커는 로드호그나 디바로 딜링을 보충하고 자리야로 유지력을 보충함으로써 손발만 잘맞는다면 꽤나 강력한 조합입니다. 아나 궁받을 라인이나 윈스턴은 필수 입니다. 



다음에는 좀더 자세하게 이 조합에서는 어떤 영웅이 좋고 어떤 영웅의 조합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오버워치는 다른 정통 FPS(ex 카운터스트라이크 시리즈)에 비해 캐릭터마다 특성과 스킬과 각각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현재까지 나온 21명의 영웅의 포지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포지션은 현재 메인딜러, 서브딜러, 메인탱커, 서브탱커, 메인힐러, 서브힐러 6가지로 나뉘어져있습니다. 사람마다 영웅을 보는 포지션이 약간씩 차이가 있을것인데 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범위로 나뉘어보겠습니다. 


  • 메인 딜러 : 주로 적 영웅에게 데미지를 주는 것에 관점을 두고 플레이 하는 딜러라인
----> 리퍼, 맥크리, 솔져, 파라, 정크랫, 한조, 위도우메이커, 바스티온


  • 서브 딜러 : 주로 적 진형을 교란시키거나 힐러들을 암살하는 것에 관점을 두고 플레이 하는 딜러라인
----> 겐지, 트레이서



  • 메인 탱 : 주로 팀을 보호 하거나 딜링보다는 탱킹을 우선시하는 탱커라인
----> 라인하르트, 자리야, D.VA(디바도 매트릭스의 유무로 메인탱커와 서브탱커를 왔다갔다 할수 있음)



  • 서브 : 탱커이지만 탱킹보다는 딜링을 우선시 하는 탱커라인 (서브 탱커는 체력이 많아서 서브탱커가 아님)
----> 윈스턴, 로드호그, D.VA, 메이(최근들어 딜러보다는 서브탱커의 색이 짙어졌다.)



  • 인 힐 : 주로 힐을 하면서 팀원들의 생존을 도와주는 힐러라인 (서브힐러랑 차이는 원힐을 잘 할수 있냐로 구분)

----> 메르시, 루시우



  • 서브 : 힐을 취미로 하고 딜을 넣기도 하는 유틸성이 높은 힐러라인
---->아나, 젠야타


  • 포지션이 애매한 영웅들 : 이분들을 넣고 조합을 짜려면 약간 머리가 아파진다.
----> 토르비욘, 시메트라 




C언어,python이 보통 절차지향 프로그램인 것에 비해 JAVA는 객체 지향프로그래밍이라고 합니다. 


객체지향프로그램은 객체를 모으고 모아서 프로그램을 완성시키는 것인데 그렇다면 객체는 무엇일까요?


저는 처음에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을 먼저 배워서 함수라는 개념이 더 친근했습니다. 그런데 함수는 무엇이고 또 객체는 무엇인지 처음에는 잘 와닿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구글링을 해보고 책을 찾아보니 또 클래스라는 정의가 있었습니다. 아직 완벽하게 와닿진 않았지만 이 때까지 정리한 내용을 쓰겠습니다.


일단 클래스와 객체와 함수를 정리하자면 간단하게 집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평범한 집이 거실,화장실,방,부엌으로 구성되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렇다면 클래스는 거실,화장실,방,부엌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객체는 그 클래스 마다의 특징을 구성하는 요소 입니다. 욕조와 변기는 화장실이라는 클래스에 있는 객체라고 할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함수는 부엌이라는 클래스의 싱크대라는 객체의 기능을 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수저, 쟁반꽂이 수세미 등입니다. 


정리를 하자면 Class(클래스) >> Object(객체) >> Function(함수)의 크기가 되겠네요 


이상을 객체에 관한 정리 글을 마치겠습니다.

'일상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인 음료수자판기의 객체지향 설계  (1) 2016.10.09
JAVA글에 대해  (0) 2016.09.15

컴퓨터 공학과인 Karice입니다. 

JAVA에 관한 글은 제가 배우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유용하거나 여러 정보를 공유하는데 쓰이는 글이 되겠습니다.

그 무엇보다 좋은 공부는 다른사람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좋은 정보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겠습니다.

'일상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인 음료수자판기의 객체지향 설계  (1) 2016.10.09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관하여  (0) 2016.09.15

다들 경쟁전을 하실건데, 경쟁전에서는 항상 이기고 점수를 올리고 싶어하죠.


이번에는 경쟁전에서 조금이라도 이길 가능성을 높여주는 "브리핑"에 대해 말해 보겠습니다.


브리핑은 보통 "팀보이스내에서 여러가지 정보를 육성으로 소통하는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저도 배치를 2499점(골드)가 나와서 멘붕을 했지만 다시 열심히 올려서 다이아로 오게되었죠. 솔직히 저는 에임이 그렇게 좋은 것도 아니라서 다른 전략,브리핑 등을 생각하면서 게임을 하게 되었고 덕분에 점수를 엄청나게 올릴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왜 브리핑이 중요한 것일까요? 여러 오버워치 사이트 몇군데만 가봐도 브리핑의 중요성에 대해 쓴 글이 많습니다. 왜 브리핑이 중요한지와 어떤 것을 브리핑해야할지 알아보죠



  • 브리핑은 왜 해야할까?
저도 힐러도 해보고 탱커도 해보고 딜러도 해봤지만 잘하는 사람들은 잘 모르겠지만 포지션마다 전장을 보는 눈이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먼저 딜러같은 경우는 보통 자신의 주변에 있는 적을 먼저 죽이려고 하고 탱커라인도 보통 자신이 죽여야하는 영웅을 먼저 자르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힐러는 무엇을 해야할까요? 보통 힐러의 위치를 가진 사람이 브리핑을 합니다. 브리핑을 함으로써 지금 전장을 좁게보는 포지션의 경우에도 더 넓은 시야를 가질수 있고 자신이 지금 어떤 것을 해야할지 알게 해줍니다.



  • 브리핑은 누가 해야할까?

 보통 힐러라인(루시우,젠야타,메르시,아나)가 주로 브리핑을 합니다. 하지만 꼭 힐러만 브리핑을 하는 것이 아니라 

탱커라인도 브리핑을 할 수 있습니다. 자리야,윈스턴,디바 등의 전장을 넓게 볼 수있는 탱커가 브리핑을 할 수도 있습니다.




  • 어떤 것을 브리핑 해야할까?

"상대방의 위치",  "상대방 스킬의 유뮤"(로드호그 그랩, 자리야 방벽,메이 벽), 

"적을 죽였는지 못죽였는지"(딸피를 처리했는지 못했는지) ,   "상대방 궁의 유무"(보통 힐러가 체크를 해야함)

"포커싱 해야하는 적"(여러사람이 비비고 있을때 누구를 먼저 처리할지 오더)




  • TIP
혹시 팀원들이 싸우거나 불화가 일어나면 즉시 멈추라고 해주세요. 졌을때 "아 아깝게 졌네요", 리퍼가 파라를 욕할때  "파라님도 잘해주셧고 리퍼님도 잘해주셧어요 다음판에는 이기죠", 등등 격려글 
사람의 감정은 전염됩니다. 내가 짜증나는 목소리로 하면 다른 사람도 짜증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브리핑은 안하는 것만도 못하게 됩니다. 브리핑을 할때에는 항상 짜증내지 않고 다른 팀원들을 격려하면서 게임합시다.




부끄럽다고 브리핑 안하지 마시고 팀원들과 자신의 승리를 위해 하는 브리핑입니다. 혹시 자신이 실버,골드라고 해서 "아마 안될거야"라고 하면서 포기하지 마시고 큐가 잡히면 "다들 팀보이스 들어와주세요", "듣기만 해도되니 들어와주세요" 라고해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면 당신의 승률이 더 높아질것입니다. 이 글을 읽고 브리핑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으면 좋겠습니다. 



이때까지 브리핑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혹시 더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덧글로 남겨주세요 추가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시즌 65점에다가 배치를 골드나와서 플레,다이아로 올린 현재 다이아에 서식하는 Karice 입니다. 

오버워치에 관련된 글은 제가 보통 힐러를 하는데 힐러의 관점에서 본 짤막한 팁이나 추천 조합,포지션등의 여러가지 유익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어서 글을 쓸겁니다. 조금 잘하는 정도이지만 틀린점은 지적해주시고 좋은 정보 얻어가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Karice 입니다. 오늘 2016/09/15일 부터 블로그를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블로그 운영에 많이 서툰점이 있겠지만 너그러이 바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보통 IT,게임 관련 글을 올릴 것이고 많이 방문해서 좋은 정보 얻어 가시면 좋겠습니다.




잘부탁 드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