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선 교환 방식 (Old)

- 통신 기간 동안 독점적인 사용을 위해 두 통신 노드 사이를 연결 - 회선의 낭비가 심함

- 실제로 정보가 흐르는 시간 외에도 점유가 되어 회선의 이용률이 낮아짐

- 초기 전화 시스템의 방식

 

2.패킷 교환 방식 (New)

- 작은 블록의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

-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만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용률이 높음

- 네트워크 연결 상의 모든 노드들 사이에 개별적으로 경로가 제어되고 회선을 공유함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

- 각 패킷의 헤더(머리 부분)에 목적지 주소(전달되는 주소)를, 몸통 부분에 전달되는 내용을 붙여서 네트워크에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 각 패킷이 자신의 헤더에 붙은 주소를 따라 적절한 경로를 통해 목적지로 도달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 회선이 특정 사용자에 의해 독점되지 않으므로 회선의 이용률이 매우 높습니다. 

'개발합시다. > BackEnd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 (IPv4, IPv6)  (0) 2021.07.09
TCP vs UDP  (0) 2021.07.09
Protocol(프로토콜) 이란  (0) 2021.07.08
SSH란  (0) 2021.07.08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  (0) 2021.07.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