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통신에서는 어떤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과 통신을 원활하게 수용하도록 해주는 통신 규약, 약속
2. 기능
- 세분화와 재합성
- 캡슐화
- 연결제어
- 오류제어
- 흐름제어
- 동기화
- 순서 결정
- 주소 설정
- 다중화
- 전송 서비스
3. 구분
- 직접 프로토콜 / 간접 프로토콜
- 단일체 프로토콜 / 구조적 프로토콜
- 대칭 프로토콜 / 비대칭 프로토콜
4. 종류
대표적으로 인터넷을 할때 사용되는 TCP/IP가 있습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
- IP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 해준다.
- HTTP, FTP, SMTP 등 TCP를 기반으로 한 많은 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들이 IP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묶어서 TCP/IP로 부른다.
IP(Internet Protocol) :
-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
- 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
- 패킷 전달여부를 보증하지 않고, 피킷을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음
5. OSI 7계층
1. 물리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인터넷에서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한 패킷의 경로 제공 및 관리의 역할을 합니다 주요 프로토콜로는 IPv4, IPv6 IPSec등이 잇습니다.
4. 전송 계층
호스트 간에 메시지의 교환과 관리가 이루어지며, TCP와 UDP가 전송 프로토콜이다. TCP는 연결형 서비스에 오류 제어와 흐름제어를 하고, UDP는 비연결형 서비스이지만 오류 제어나 흐름 제어는 실시하지 않습니다.
5. 세션 계층
6. 표현 계층
7. 응용 계층 - FTP, Telnet, SMTP, DNS, TFTP, HTTP, POP3, SNMP
FTP (File Transfer Protocol)
대화형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이 가능하다.
Telnet :
사용자가 원격에 있는 서버에 로그인 하도록 RCP 연결을 설정하며, 직접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말 그대로 메일 서비스이다. 텍스트나 실행 파일 등을 손쉽게 전송할 수 있다. 메일 시스템에서는 우너격 컴퓨터나 네트워크 연결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하다.
DNS (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 주소를 통해 IP주소를 확인 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참조 :
https://linked2ev.github.io/devlog/2019/06/03/WEB-What-is-protocol/
https://information-science.tistory.com/2
'개발합시다. > BackEnd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vs UDP (0) | 2021.07.09 |
---|---|
정보통신의 방식 (회선교환 방식, 패킷교환 방식) (0) | 2021.07.09 |
SSH란 (0) | 2021.07.08 |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 (0) | 2021.07.07 |
HTTP와 HTTPS란? (0) | 2021.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