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자주 잊어버리고 실수 할 수 있는 상황들을 모아봤다.
1. every 함수와 filter함수 사용법
2. td/tr에 css넣을 때 주의 할점
3. margin, padding 넣는 방법
4. mounted와 created 차이점 10초 요약
해결방법
1. every와 filter같은 함수의 parameter에는 함수를 넣어줘야한다. (변수나 결과값을 넣어주면 안됨)
2. tr 아래에 td가 있어서, tr에만 css를 적용시켜줬다. 그러나 td에도 css가 설정되어 있으면 일일히 다 설정을 바꿔줘야 함. (자식 css가 우선)
3. vuetify에서 padding과 margin 넣을때는 ,mt, pt를 사용하자.
4. mounted는 created 보다 전에 실행되는데, DOM이 아직 안만들어졌을 때라서 init을 할때 쓰인다. created는 잘 안쓰이는데 스크롤 위치 조정, 포커스 등의 엘리먼트에 동작을 가할때 주로 사용한다.
코드
1. Every는 배열의 값을 모두 인자 함수로 돌려준다. ex) Allchecked (O), Allchecked() (X)
items.every((item) =>
typeof item === 'object' ? item.text && item.value : !_.isNil(item)
)
2. 따로 없음. tr에 값들 다 따로 넣어주자.
3. mt(MarginTop), pt(PaddingTop), mr(MarginRight) 이렇게 값을 주면된다. -를 쓰고 옆에 숫자 넣기
<v-text-field
class="mt-0 pt-0"
desne
/>
4. mounted 사용법
async mounted() {
try {
await this.init(query)
} catch (e) {
this.error = true
console.error(e)
}
},
참고
내 머릿속
'개발합시다. > FrontEnt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Vue] Object안에 key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0) | 2022.09.26 |
---|---|
[Vue] Vuetify 비활성화(disabled) 조건부 설정하기 (0) | 2022.09.26 |
[JavaScript] 배열의 앞, 뒤에 값 추가하기 (0) | 2022.09.26 |
[Vue] V-btn 색상 변경 (feat. Vuetify) (0) | 2022.09.26 |
[Vue] 처음 초기화 할때(init) 제대로 안보여주는 경우 (v-progress-bar) (1) | 2022.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