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IT에서 마이그레이션이란 (Migration) 어떤 환경(운영체제, DB 등등)에서 더 낫다고 여겨지는 환경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말한다.
크게 소프트웨어 마이그레이션 / 하드웨어 마이크레이션이 있는데 이번에는 소프트웨어 마이그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다.
종류 :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데이터를 한 종류의 스토리지에서 다른 종류의 스토리지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유는 스토리지 용량확장, 성능 향상, 비용 절감, 물리적 설치공간 축소, 새로운 기능 추가를 위한 업그레이드 등이 있다.
세단계로 진행된다.
- 데이터 추출
- 데이터 변환
- 데이터 로드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 데이터베이스를 업그레이드 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인프라로 이동하면서 데이터베이스가 변경되는 것입니다.
데이터를 다른 DB로 이동하려면 소스 DB의 스키마가 대상 DB와 호환되고 변경되어야 합니다.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 소프트 애플리케이션을 한 IT시스템에서 다른 IT 시스템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종류로는
재호스팅 / 리팩토링 / 플랫폼 재구성 / 종료 또는 교체 등이 있습ㄴ디ㅏ.
오늘날에는 많은 IT조직인 컨테이너화된 서비스를 도입하고 DevOps 프로세스를 이용합니다.
운영체제 마이그레이션
IT 시스템을 다른 OS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Linux에서 Windows로 옮기는 등이 있다.
준비 - 자동화 - 마이그레이션 단계를 따릅니다.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 위와 같이 클라우드에서 다른 클라우드로 옮겨가는 것을 뜻합니다.
참고 :
https://www.redhat.com/ko/topics/automation/what-is-it-migration
'개발합시다. > BackEnd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ID란? (0) | 2021.08.18 |
---|---|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0) | 2021.08.18 |
ORM이란 (0) | 2021.08.17 |
PostgreSQL이란? (0) | 2021.08.17 |
운영체제 메모리 관리란? (0) | 2021.08.16 |